5분자유발언
5분발언 | 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발언일자 | 2024-02-23 | ||||||
발언의원 | 박기영 | ||||||
발언요지 | 제목 | 강원형 재난대응 매뉴얼과 시스템 구축 관련 | |||||
ㅇ 2023년 전국 지역 안전지수에 따르면 강원특별자치도의 안전등급은 전국 광역지자체 중 최하위 수준임. ㅇ 2022년 재해 연보에서는 최근 10년간 1인당 자연재해로 인한 물적 피해 규모가 1인당 평균 29만6천485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오는데 이는 대형산불 대부분이 강원지역에 편중된 결과임. ㅇ 산불은 강원형 재난의 대표적 사례인데도 우리 도는 그에 맞는 강원형 재난대응시스템을 가지고 있지 않음. ㅇ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모든 화재는 소방조직과 행안부에서 화재의 예방과 진화를담당하고 있는데 유독 산불화재 만큼은 산림청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으로 규정하고 있음. ㅇ 이는 산불에 대한 대응체계가 이원화되어 있는 것을 뜻함. ㅇ 강원형 재난의 대표 사례인 ‘산불’에 대해서는 독자적인 재난대응시스템을 갖추어야 하며, 상설 강원 산불방지 대책본부가 그 해답이라고 생각함. ㅇ 따라서 강원 산불과 관련하여 효율적인 재난대응체계로 일원화하기 위한 선진국 사례에 대한 벤치마킹과 연구용역 발주를 제안하고자 함. ㅇ 강원형 재난대응시스템을 갖추고 산불피해 최소화를 위해 전문기관의 초기대응이 필요하며 24시간 AI기반의 재난 예측·감시체계를 통해 재난안전 역량을 강화하기 바람. |
|||||||
추진상황 | 소관부서 | 산불방지센터 | |||||
추진내용 및 향후계획 | |||||||
- 강원자치도에서는 동해안지역 대형산불 대응을 위해 ‘18.11월「동해안산불방지센터」를 설립하였고, 산불전담 및 일원화를 위하여 ’22.10월「 산불방지센터」로 조직을 확대 개편하여 운영중에 있음 -「산불방지센터」는 강원자치도가 주관하며 산림청, 소방, 기상청, 군부대, 시·군 등 유관기관이 협업하는 전국 최초의 산불전문 기관 임 * 24시간 산불상황대응실 운영, 임차헬기 및 산불진화자원 통합운영 * 산불상황관제시스템 등 11종 운영(도4, 산림청4, 기상청2, 농어촌공사2) - 현재 동해안 6개 시군에 산불 ICT플랫폼 구축사업을 완료하였고, AI기반의 산불 조기감지 및 확산예방을 위한 실증사업을 협업(정보화 정책과)추진중임 - 산불방지센터에서는 산불예방, 진화(대응) 위주로 운영되고, 사후관리(복구)의 경우는 재난안전실에서 총괄하며, 주관부설 별로 분담 추진하고 있음 * 주택-건축과, 이재민 구호-사회재난과, 산림피해-산림정책ㆍ산림관리과 - 향후 산불의 대형화ㆍ연중화에 대비하고 유관기관 협업체계 강화를위해 대형산불 대응체계 개선, 효율적인 조직 구성 등을 중장기적과제로 검토 추진토록 하겠음. |
|||||||
처리구분 | 1. 처리완료 2. 계속추진 3. 임기종료(종결) 4. 본회의종결 | ||||||
첨부 파일 |